앞서 글에서 라이젠이 특정 상황에서 성능 하락 문제가 있었다고 언급했었는데요.
원문
http://wccftech.com/amd-ryzen-performance-negatively-affected-windows-10-scheduler-bug/
내용을 보면 인텔 cpu의 경우 가상 코어에는 물리 코어 만큼의 부하를 주지 않고, 적당히 조절해서 부하를 나누어 준다는데요.(= 가상코어를 제대로 인식한다.)
AMD 라이젠의 경우 가상 코어를 물리 코어로 인식하여, 물리 코어랑 같은 량의 부하를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당연히 물리 코어가 아니니 성능적으로 문제가 생긴다고 하네요.
Windows 10의 경우 싱글 코어 점수 4831, 멀티 코어 점수 22722,
Linux의 경우 싱글 코어 점수 4832, 멀티 코어 점수 27138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싱글 코어 점수의 경우 단 1 차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멀티 코어 점수는?
리눅스의 경우 라이젠 출시 이후 이러한 버그 패치를 위해 커널 패치를 하였습니다.
멀티 코어 점수가 확연히 차이가 나는게 보이죠?
이 전에 불도저 cpu도 게임 성능이 안나오는 Windows 문제로 긴급 패치가 있었던 적이 있었는데요.(물론 cpu 자체 성능이 안좋긴 했지만요. ㅠㅜ)
이번 패치로 20%정도 성능 향상이 있을 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리눅스와 윈도우의 멀티 코어 점수 차이가 약 20%정도거든요.
수일? 수주? 언제가 될 지 모르겠지만 빠른시일 내에 해결되길 기원하겠습니다.
원문
http://wccftech.com/amd-ryzen-performance-negatively-affected-windows-10-scheduler-bug/
내용을 보면 인텔 cpu의 경우 가상 코어에는 물리 코어 만큼의 부하를 주지 않고, 적당히 조절해서 부하를 나누어 준다는데요.(= 가상코어를 제대로 인식한다.)
AMD 라이젠의 경우 가상 코어를 물리 코어로 인식하여, 물리 코어랑 같은 량의 부하를 준다고 합니다.
그래서 당연히 물리 코어가 아니니 성능적으로 문제가 생긴다고 하네요.
Windows 10의 경우 싱글 코어 점수 4831, 멀티 코어 점수 22722,
Linux의 경우 싱글 코어 점수 4832, 멀티 코어 점수 27138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싱글 코어 점수의 경우 단 1 차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멀티 코어 점수는?
리눅스의 경우 라이젠 출시 이후 이러한 버그 패치를 위해 커널 패치를 하였습니다.
멀티 코어 점수가 확연히 차이가 나는게 보이죠?
이 전에 불도저 cpu도 게임 성능이 안나오는 Windows 문제로 긴급 패치가 있었던 적이 있었는데요.(물론 cpu 자체 성능이 안좋긴 했지만요. ㅠㅜ)
이번 패치로 20%정도 성능 향상이 있을 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리눅스와 윈도우의 멀티 코어 점수 차이가 약 20%정도거든요.
마이크로소프트도 문제를 인지하고 있는 듯 한 모습이다.
수일? 수주? 언제가 될 지 모르겠지만 빠른시일 내에 해결되길 기원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